오늘은 생명보험과 연금보험에 사용되는 생명표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해봅시다.
우리 국민연금도 자동조정장치에 대한 이야기를 한동안 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 생명표를 활용하게 되죠.
생명표 (Life Table)
특정 연령의 사람들이 앞으로 얼마나 살 것인지, 언제 사망할 확률이 얼마인지 보여주는 표
📌 보험사는 통계청이나 자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명표를 만들어요.
구성 항목
아래 항목을 이해하기 전에 lx, qx, px, ex에 대한 이해가 필요해요.
lx: 생존자 수 (Live)
qx: 사망률 (Quit)
px: 생존률 (Pass)
ex: 기대여명 (Expect)
괄호는 외우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항목 | 의미 | 예시 (30세 기준) |
lx | x세에 생존해 있는 사람 수 | 96,000명 |
qx | x세 -> x+1세 사이 사망할 확률 | 0.17% |
px | x세 -> x+1세까지 생존할 확률 | 0.9983 |
ex | x세 기대여명 (얼마나 더 살까?) | 52.3년 |
보험 수학에서 보통 인구 10만 명 기준으로 lx를 설정해요.
즉, 30세에 생존해 있는 사람은 96,000명이고 30~31세 사이 사망할 확률은 극히 낮고, 생존할 확률은 매우 높으며 30세 기준으로 52.3년 더 생존할 것이라 기대됩니다.
활용 분야
활용 분야 | 설명 |
생명보험료 계산 | 사망할 확률을 고려해 평균 사망보험금 계산 |
연금보험 계산 | 얼마나 살지를 예상하고 연금을 지급하는 기간을 예측 |
리스크 모델링 | 연령별 사망률 및 생존률을 고려한 생존 분석 |
고객 세분화 | 연령별 사망위험 기반 고객 리스크 레벨링 가능 |
순보험료 계산 예시
이전 시간에 배웠던 순보험료 계산 적용해볼게요.
qx (사망 확률): 0.17%
보장 금액: 1억 원
보험료 = 0.17 % 1억 원 = 170,000원 + Loading
👉 여기에 부가보험료(Loading)을 더해서 실제 보험료가 만들어지죠.
실무 분석에 필요한 관점
분석 예 | 적용 방식 |
생존 분석 | Kaplan-meier, Cox 모델 등 활용 가능 |
생명보험료 시뮬레이션 | 고객 나이 -> lx,qx, px 조회 후 수식 적용 |
연금 예측 | ex 값을 활용하여 총 연금 지급 예상액 산출 |
고령화 보험 리스크 분석 | ex 추세, qx 증가율로 리스크 클러스터 정의 가능 |
'Insur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험 도메인 기초 개념 정리 (2) (1) | 2025.04.23 |
---|---|
보험 도메인 기초 개념 정리 (1)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