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Story

데이터 사이언스, 쉽게 설명하기

AWS

AWS 기초 - EC2

_data 2023. 3. 2. 20:12

EC2

- Elastic Compute Cloud(탄력적 컴퓨팅 클라우드)이며, 클라우드 공간 크기를 탄력적으로 변경 할 수 있는 가상의 서버 기능 제공한다.

- EC2는 인스턴스로 불리며 클라우드 공간에 가상의 서버를 만들어서 AW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다.

- 사용량이 많으면 임시적으로 공간을 늘리고, 적으면 디스크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가상의 서버라서 CPU, Network 등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EC2 비용

EC2를 이용하는데 비용이 당연히 든다. 대표적으로 세 가지가 구분이 된다.

- 온디맨드

시간당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는 방식이며, 주로 소프트웨어 검증이나 테스트 단계에 많이 사용된다. 개발 기간이 짧을 때나, 끝을 알고 있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 스팟

입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며, 입찰가에 내놓은 금액과 맞을 때 인스턴스가 실행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셧다운이 된다. 시작과 끝의 기간이 중요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한다.

 

- 리저브드

EC2 인스턴스를 2년 정도 싸게 빌려서 사용하여 지불하는 방식. 대부분 개발의 시작과 끝의 기간을 알고 있을 때 사용한다. 그러나, 인스턴스의 크기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 처음 만든 그 공간과 셋팅을 그대로 사용해야한다.

 

EBS

Elastic Block Store(탄력적 블록 보관소)이며 파일이나 오브젝트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소 크기를 만들어준다.

- 인스턴스 접근과 로컬 디스크에 파일 옮기는 작업이 가능

- 비휘발성 특징을 가지고 있어 EC2가 꺼져도 존재

- EBS 가용 영역을 미리 설정해주어야 함.

더보기

가용 영역

메인 서버에서 만들어지는 복사 스토리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한 서버가 셧다운이 되었을 때, 백업으로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가용 영역. Image from TechTarget

 

- SSD, HDD 두 가지로 EBS 볼륨타입이 나뉘어진다. 우리가 알고 있는 SSD(Solid State Disk)와 HDD(Hard Disk Drive)의 특성을 고려하여, SSD는 빠른 속도니까 빈번한 조회 때 사용하고, HDD는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한다.

 

ELB

Elastic Load Balancer. 서버에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방식으로 혼잡을 해결하는 방법이다.

서버 과부하가 일어나면 들어오는 데이터에 비해서 처리되어 나가는 데이터가 버거워서 병목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EC2는 ELB를 사용한다.

 

ELB 오류

504 GateWay Time-out 에러가 나타나는데, 이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버에서 특정 시간내에 응답을 받지 못할 때 나타난다. 

Image from HubSpot Blog

DB Layer, Server Layer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해결할 수 있다. LB(Load Balanacer)에서 최대 접속 시간 제한(ITO)이라는 것을 수정하면된다. 현재 작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규모가 크다면 ITO 제한 시간을 변경하면 해결된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기초 - CloudWatch  (0) 2023.03.05
AWS 기초 - S3  (0) 2023.03.04
AWS기초 - RDS  (0) 2023.03.03
AWS 기초 - IAM  (0) 2023.02.27
AWS 기초  (0) 2023.02.26